‘마이크로 임플란트(Micro Implant)’란 무엇인가요?


작용과 반작용의 법칙’은 뉴턴의 운동 법칙 중에 제3법칙으로 그 내용은 다음과 같습니다.

‘한 물체가 다른 물체에 힘을 작용하면, 다른 물체도 힘을 작용한 물체에 크기가 같고 방향이 반대인 힘을 작용한다.’

우리는 이러한 ‘작용과 반작용의 법칙’의 법칙을 일상생활에서 수도 없이 경험하면서 살고 있습니다.

구강 내에서 치아가 움직이는 것에도 이러한 ‘작용과 반작용의 법칙’이 적용됩니다. 치아가 움직이기 위해서는 힘을 가해야 하는데, 치아끼리 힘을 가하다 보면 ‘작용과 반작용의 법칙’에 의해 힘이 가해지는 양쪽 치아 모두에 움직임이 발생하게 되는 것입니다. 움직이지 않아야 하는 치아가 반작용에 의해 움직인다면 치료 결과에 좋지 않은 영향을 미칠 수 있으므로, 교정과 의사들은 이러한 모든 것들을 고려하여 치아의 움직임을 디자인해야 하며, 그렇기 때문에 교정 치료는 매우 어렵고 숙련된 기술과 지식을 요하는 치료라 할 수 있습니다.

이러한 ‘작용과 반작용의 법칙’을 막기 위해 개발된 것이 바로 ‘마이크로 임플란트(Micro Implant)’입니다. 이것을 뼈 속에 위치시키고 힘을 가하게 되면 ‘마이크로 임플란트(Micro Implant)’에서는 반작용의 힘이 상쇄되기 때문에 우리가 원하는 쪽의 치아들만 이동시킬 수 있는 것입니다.

치아와 치아끼리 힘을 가하는 것이 아니므로 불필요한 치아 이동을 막을 수 있고, 움직임을 원하는 쪽의 치아를 최대한 많이 이동시킬 수 있기 때문에 치아 이동을 계획하고 디자인하는데 훨씬 용이해 많이 사용되고 있습니다.

‘마이크로 임플란트(Micro Implant)’는 1998년에 우리나라에서 개발되었습니다. 이는 교정학의 역사에 한 획을 긋는 획기적인 사건이었으며, 이것의 개발로 인해 그동안 치료가 어렵거나 불가능했던 많은 케이스들이 치료가 가능하게 되었습니다.

‘마이크로 임플란트(Micro Implant)’의 개발과 더불어, 현재는 대한민국이 세계교정학계를 선도하고 있습니다. 그만큼 대한민국의 교정 치료 수준은 세계적으로 인정받고 있으니 대한민국 교정과 의사에게 치료를 받으시는 것에 자부심을 가지셔도 좋습니다. 그리고, 그 중심에 ‘대한치과교정학회’가 있습니다.

‘마이크로 임플란트(Micro Implant)’는 모든 환자에게서 필요한 것은 아니지만 좋은 치료 결과를 위해 사용해야 하는 경우가 많으니 교정과 의사와 상의하시는 것이 좋습니다.

치아 교정에 사용되는 ‘마이크로 임플란트’란 인체에 무해한 티타늄으로 만들어진 직경 1.2~1.8, 길이 6~8mm 정도의 조그마한 임플란트입니다. ‘마이크로 임플란트’는 ‘미니 스크류’, ‘마이크로 스크류’, ‘임시 골고정원’ 등의 용어와 혼재되어 사용되며, 치아를 이동시키기 위하여 고정원(지지대)의 역할을 하게 됩니다.

출처 – 대한교정학회

치과교정과전문의김명희 원장

서울대학교 치과대학교 졸업, 보건복지부 인증 치과교정과 전문의로 25년 이상
풍부한 임상치료를 해왔으며 지역민들의 따뜻한 주치의가 되기를 소망합니다.

관련 치아건강정보

이전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