치아 교정은 언제쯤 하는 게 맞나요?라는 질문을 많이 받는데요. 교정 치료를 위해 정밀한 검사와 진단 과정을 통해 환자의 상태를 파악하여 정확한 시기를 정하게 됩니다. 즉, 환자의 나이, 목적, 치아 골격 상태에 따라 달라질 수 있습니다.
성장기 아동 교정 치료
단순히 치열 개선을 위한 교정치료는 일반적으로 성장기 아동의 교정치료는 젖니와 영구치가 교환하는 혼합치열기 후반이 적절한 시기로 볼 수 있습니다. 영구 소구치(작은 어금니)가 나온 직후로 환자의 상태에 따라 비 발치 치료 또는 발치를 통하여 교정치료가 진행됩니다.
턱 성장 조절 교정 치료
부정교합을 일으킬 수 있는 손톱을 물어뜯는 습관, 손가락을 빠는 습관, 입으로 숨을 쉬는 습관, 입술을 빠는 습관 등 나쁜 습관이 있거나 성장의 부조화가 있는 경우 치아배열과 턱 성장에 문제를 일으키기 때문에 빠른 시기에 이러한 습관을 조절하는 교정 치료가 필요합니다.
사춘기 급성장이 일어나기 3~4년 전부터 교정치료를 시작하는 것이 필요합니다. 개개인마다 다르지만 초등학교 고학년이 되기 전에 시작하는 것이 필요합니다. 이는 환자의 성장을 교정치료에 충분히 활용하여 치료하기 위해서입니다.
환자가 장치를 제거, 장착할 수 있는 가철성 교정 장치(헤드기어, 페이스 마스크 등)를 주로 사용하여 턱 성장 유도와 나쁜 습관을 개선합니다.
성인 교정 치료
최근에 들어서는 심미 개선과 기능적 개선을 위한 교정치료를 받는 성인환자의 비율이 증가는 추세입니다.이는 아름다운 안모와 건강한 치열을 가지고 싶은 욕구의 표현이라 할 수 있습니다. 일생 동안 골대사가 일어나기 때문에 성인들도 치아 교정 치료를 받을 수가 있습니다.
성인에서도 교정치료는 건강한 잇몸을 가진 경우는 대부분 가능합니다.하지만 청소년에 비해 치아 이동이 느릴 수 있고, 턱 성장의 부조화 심각할 경우 치아교정과 턱 수술적 치료를 병행해야 좋은 결과를 기대할 수 있는 경우도 있습니다. 단지 소아나 청소년에 비해 골 대사 속도가 느려 치아 교정 치료 기간이 길어지게 되는데 최근에 교정장치들의 발달로 치아 이동 속도가 많이 개선되었으며, 성인교정은 많이 보편화되어 30~60세에서 더욱 증가하고 있습니다.
보이는 교정장치에 민감한 성인들은 치아 색과 유사한 세라믹 교정장치, 설측교정장치, 투명교정장치 등 심미적 교정장치를 선택함으로써 보이는 것에 대한 거부감을 크게 줄일 수 있습니다.
보철이나 임플란트를 위한 교정
성인은 소아 청소년에 비해 후천적 치아손상이나 결손으로 보철이나 임플란트를 해야 되는 경우가 많은데요. 치아손상으로 발치 후 장기간 방치하게 되면 옆 치아 쓰러져 발치 공간이 좁아져 보철장치를 할 수 없게 되는 경우가 생기게 돼요. 이때 간단한 부분 교정을 통해 공간 크기를 바로잡아 임플란트나 보철장치를 할 수 있게 합니다.
궁금증이 해결되었나요? 다음 시간에는 다른 주제로 만나요.

서울대학교 치과대학교 졸업, 보건복지부 인증 치과교정과 전문의로 25년 이상
풍부한 임상치료를 해왔으며 지역민들의 따뜻한 주치의가 되기를 소망합니다.